{{ post.title }}
글 편집
글 편집 (이전 에디터)
{{ post.author.name }}
작성일
펑션베이는 한국에 있는 본사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독일, 미국 등에 Business Unit이라고 부르는 현지 지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중 FunctionBay GmbH(이하 FBG)는 과거 Mechanical Dynamics의 멤버였던 이들이 주축이 되어 2003년에 창립되었으며, 현재, 11명의 임직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커다인의 유럽 시장을 책임지고 있는 FunctionBay GmbH(펑션베이 독일지사, 이하 FBG) 를 소개합니다.
경영진 (Thomas Kelichhaus 토마스 & Tanja-Alexandra Lange 타냐)
유럽 및 해외 지역의 영업 및 관련된 제반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토마스, 유럽 지역의 리커다인관련 사전 영업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타냐가 FBG의 창립멤버이자 경영 책임자입니다.
고객들에게 리커다인을 소개하는 일뿐만 아니라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파악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 본사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처하고, 고객에게 유용한 솔루션을 단기간 내에 찾아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업 & 마케팅 (Stefan Bayreuther 스테판)
스테판은 직간접 판매뿐만 아니라 마케팅 업무를 책임지고 있으며, 고객 관리 및 유럽 지역의 리커다인 판매 대리점에 대한 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술지원 (Uwe Eiselt 우베, Nancy Bernhardt 낸시, Harald Weinbrenner 헤럴드, Timo Giese 티모, Ivaylo Haralampiev 이보)
우베는 FBG 기술지원팀의 팀장으로, 타 CAE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기술지원 서비스를 담당하다가 2005년,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 FBG에 합류하였습니다. 그는 FBG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으며, 그의 팀에는 낸시(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 헤럴드(어플리케이션 선임 엔지니어), 티모(프로젝트 관리자, 연구 & 개발 담당), 이보(프로그래머)가 팀원으로 있습니다.
낸시는 ThyssenKrupp Presta Steering에서 근무하다가 2012년, FBG 에 합류하였으며, 헤럴드는 CAE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 근무하던 중에, 2003년에 합류하였습니다.
티모와 이보는 독일에서 손꼽히는 명문인 뮌헨 기술대학교에서 공부한 인재들로, 티모의 경우, 공작기계(Machine Tool)분야를 전공한 후, 현재, RecurDyn/Machine Tool 관련 업무와 유럽 지역의 리커다인 연구 및 개발 업무를, 이보는 현재 유능한 프로그래머로 FBG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리커다인(펑션베이)과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펑션베이는 리커다인이 아시아와 미국에서 인지도가 높아지자, 2003년에 유럽 시장 진출을 모색하였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 펑션베이 미국 지사에서 근무하고 있었던 Karl Bangert는 유럽 지역의 리커다인 론칭을 위해, 같이 일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인재들을 찾게 되었고, 그러던 중에, 그는 예전에 과거 Mechanical Dynamics에서 함께 일했던 동료인 토마스와 타냐를 추천하였습니다.
리커다인을 처음 접하게 된 토마스와 타냐는 리커다인(RecurDyn)을 새로운 도전이라고 생각했으며, Recursive Formalism을 기반으로 한 리커다인(RecurDyn)이 유럽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 확신하였습니다. 그리하여, 2003년 1월 23일, 리커다인의 유럽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현재의 운영진인 토마스와 타냐를 중심으로 FBG가 창립되었습니다.
유럽 시장에서 리커다인을 세일즈 하는데 있어 가장 강력한 무기는 무엇입니까?
유럽에서의 성공의 열쇠는 작지만 유연한 조직을 지향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이미 시장을 선점한 경쟁사들의 비즈니스 활동을 우리가 압도해 나가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경쟁사가 고객에게 트라이얼 라이선스를 발급해주는 데 2주가 걸렸다면, 우리는 신청 후 바로 다음날 고객에게 트라이얼 라이선스를 발급해주었습니다. 기술문의 전화의 경우, 때로는 모두가 다른 업무로 바빠서 응대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문의를 받으면, 1시간 이내에 해당 문의에 대한 답변을 주었고, 엔지니어가 능숙하지 않은 분야에 대한 문의를 받더라도 Caller ID를 부여하여 최대 2~3일 후에는 반드시 답변을 주었습니다.
이는 우리가 어떤 일을 하고 있건 간에, 고객을 실망시키지 않는다는 엄격한 규칙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밤새도록 연구할 수 밖에 없는 어려운 문제일지라도 고객이 기술 문의를 하면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는 본사의 개발팀에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경쟁 제품과 비교하였을 때 리커다인(RecurDyn)이 우위에 있는 점은 무엇입니까?
기술적인 관점에서 보면, MFBD를 비롯하여 모든 툴킷의 GUI가 타 제품에 비해 사용하기 편하다는 점이 고객에게 좋은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전통적인 강체 동역학 분야(RecurDyn/Professional)의 관점에서 보면, 리커다인은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Analytical Contact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객 스스로가 필요한 기능을 간편하게 추가하여 리커다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RecurDyn/ProcessNet라는 기능 또한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쟁사들과 다르게 한 소프트웨어(리커다인)를 집중적으로 개발/유지하여 고객 목소리에 빠른 대처를 위한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도 리커다인이 가진 경쟁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럽 시장에서의 RecurDyn 성공 사례를 소개해주세요.
유럽 시장에서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말하자면, 유럽 지역의 고객 중 가장 큰 기업인 Siemens Energy & Automation을 꼽을 수 있습니다. Siemens Energy & Automation은 중전압 변압기로부터 고효율의 전기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공급하고자 하는 에너지 공급자 및 관련 산업의 고객에게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새로운 컨셉의 저전압 스위치 개발에 RecurDyn을 사용하였습니다.
Siemens Automation & Drives, Low-Voltage Controls & Distribution의 선행 개발 및 시뮬레이션 부서 책임자인 Dr. Michael Anheuser은, 선행 개발과 시뮬레이션은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변형 공식에 대한 단순한 Excel 매크로부터 복잡한 CAE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툴을 사용해오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2004년에 Siemens는 이미 사용하고 있던 프로그램과 새로운 프로그램을 벤치마크 해보기로 결정하였고, 그들은 RecurDyn의 광범위한 시뮬레이션 기능, 빠른 솔버, 모델을 구축하기에 유저 친화적이고, 적절한 사용 방법 등으로 인해 그들의 업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잘 맞는다고 판단하여 RecurDyn을 도입하였습니다.
그들은 저전압 스위치 개발을 위해, 시뮬레이션과 테스트를 이용하여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컨셉들을 선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스위치 기계 장치를 새롭게 개발하기 위해서, 여러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수많은 가상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리커다인을 이용하였고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리커다인(RecurDyn)은 우리의 업무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툴입니다. 그리고, 펑션베이는 매우 훌륭한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펑션베이의 직원들은 우리의 문의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하였고, 그들의 지원 덕분에 우리는 업무에 충실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선행 개발 과정에서 리커다인(RecurDyn)의 시뮬레이션으로 인해 모델 생성과 개발, 평가 분야에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제품을 한층 더 최적화 하기 위해 고도의 동역학적 조건들을 다루는 어셈블리의 유연체 요소들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RecurDyn/MFBD 툴킷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미래에 한발 더 나아가고 싶습니다." -선행 개발 및 시뮬레이션 부서 책임자 Dr. Michael Anheuser |
향후 유럽 시장에서 리커다인(RecurDyn)이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리커다인은 MFBD라고 하는 특화된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CAE 프로세스 상에서 그 강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타 FEA 프로그램에 비해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우리는 MFBD가 가진 강점을 고객들에게 충분히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활용안 제시와 벤치마킹에 더욱 신경써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유럽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고 경쟁사보다 유리한 포지션을 선점하기 위해 Gear, Chain, Belt 등과 같은 자동차 분야의 특화된 툴킷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